고사성어 쓰기 노트 모음을 만들려고 합니다. 쓰기 자료로 활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겉뜻 : 관중과 포숙아의 사귐
속뜻 : 영원히 변치 않는 참된 우정.
춘추시대 제나라에 관중과 포숙이라는 인물이 있었습니다. 당시 제나라는 폭군 양공으로 인해 혼란에 빠져 있었습니다. 결국 공자 규는 관중과 함께 노나라로 망명했고, 규의 동생인 소백은 포숙과 함께 거나라로 망명했습니다. 이후 양공이 권력 쟁탈전 끝에 살해되어 군주의 자리가 비게 되자, 규는 군주가 되기 위해 관중을 보내 소백을 암살하고자 하였습니다. 그러나 소백은 천만다행으로 목숨을 구했고 군주의 자리를 차지하였습니다. 결국 소백에게 잡힌 규는 자결하였고 관중은 사형 집행을 눈앞에 두었습니다. 이때 포숙이 말하길 "전하, 전하께서 제나라에 만족하신다면 신으로 충분할 것입니다. 그러나 천하의 패자가 되고자 하신다면 관중 외에는 인물이 없을 것입니다. 부디 그를 등용하십시오." 결국 관중은 자신이 죽이려던 자 휘하에서 재상이 되었습니다. 그 후 관중은 사람들에게 말했습니다. "일찍이 내가 가난할 때 포숙과 함께 장사를 했는데, 이익을 나눌 때 나는 내 몫을 더 크게 했다. 그러나 포숙은 나를 욕심쟁이라고 말하지 않았다. 내가 가난함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내가 사업을 하다가 실패하였으나 포숙은 나를 어리석다고 말하지 않았다. 세상 흐름에 따라 이로울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을 알았기 때문이다. 내가 세 번 벼슬길에 나아갔다가 번번이 쫓겨났으나 포숙은 나를 무능하다고 말하지 않았다. 내가 시대를 만나지 못했음을 알았기 때문이다. 내가 싸움터에 나가 세 번 모두 패하고 도망쳤지만 포숙은 나를 겁쟁이라고 비웃지 않았다. 내게 늙으신 어머니가 계심을 알았기 때문이다. 나를 낳은 이는 부모님이지만 나를 알아준 이는 포숙이다." [글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출전 : [史記]
댓글 없음:
댓글 쓰기